[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국민안전처가 지진 발생을 알리는 문자를 방송사에 잘못 발송한 게 방송자막으로 그대로 나오면서 한동안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일이 있었다. 안전처는 이내 훈련상황 중 발생한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안전처와 기상청 등에 따르면 24일 오후 안전처는 "오늘 13시13분경 경북 경주 남남서쪽 10㎞ 지역에 규모 3.2의 지진 발생"이라며 "다음과 같이 재난방송을 실시해 달라"는 문자메시지를 방송사에 보냈다. "추가 여진에 대비 TV, 라디오 등의 재난방송 청취바랍니다.(국민안전처)"라는 내용도 문자에 담겼다.
그러나 실제 이 시각 경주에선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다. 안전처는 잠시 뒤 "오늘 13시13분경 지진 발생 자막방송 요청 내용은 훈련상황이었음을 알려드린다"고 앞선 문자 내용을 바로잡는 문자를 보냈다.
하지만 방송사들은 이미 자막으로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는 내용을 알린 뒤였다. 자막을 본 국민들은 지진 소식에 불안할 수밖에 없었다.
안전처 관계자는 "지진 발생에 대비해 방송사에 자막방송을 내달라고 요청하는 훈련을 하고 있었는데, 나가면 안 될 문자가 자리를 옮긴 지 얼마 안 된 담당자의 실수로 전송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방송사에 전화를 걸어 관련 경위를 설명하고 사실관계를 바로잡았지만, 이미 자막을 내보낸 곳들이 많은 상황"이라며 사과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 규모 5.8의 경주 강진 당시 긴급재난 문자메시지 늑장 발송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자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을 바꿔 신속한 전달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기상청이 지진 정보를 안전처에 보내면 진도 분석을 거친 뒤 안전처가 재난 문자를 송출하는 기존 방식에서, 지난달부터는 기상청이 재난 문자 발송을 전담토록 하고 있다.
다만 안전처도 기상청으로 업무를 이관하는 과정에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문자 발송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