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설작업등과 같은 인력투입에 동원되던 군부대 인력에 이번 AI 살처분 작업에 인력을 투입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군 당국이 '사병 부모들의 정서'를 이유로 병력 지원에 소극적이어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이고 있는 것.
2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전남 해남의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에서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이후 동원된 방역 인력은 7만1000여 명에 이른다.
국방부가 밝힌 군병력 투입인원은 2683명(11월 29일~12월 26일 기준)이었다. 농식품부가 집계한 전체 동원 인력의 4%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마저도 이 기간 살처분 및 매몰 처리 현장에 투입된 군병력은 한 명도 없었다. 이동통제초소나 발생 농장이 살처분 작업이 끝난 뒤 사료나 분뇨 등 잔존물 처리 작업에 투입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AI 발생 시 제도적으로 자위대를 도살처분 현장에 투입하고 있는 일본과는 대조적이다.
한국도 과거 2008년 당시 AI가 터졌을 때만 해도 살처분 작업에 장병들이 직접 투입됐었다. 과거 살처분에 참여한 사병이 AI에 감염된 사례는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그런데도 당시 군 복무 중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반발이 심하고 인체 감염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이후 병사들은 살처분 현장에 직접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 자위대는 모병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일본은 살처분 현장에 군병력이 즉각 투입된다"며 "방역 매뉴얼을 엄격히 지키면 감염될 가능성은 작지만, 우리나라는 부모들이 걱정을 하니, 국방부가 병사를 살처분 현장에 직접 투입하지는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