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정유년 새해를 맞이한 가운데 매년 단골 결심 항목인 '금연'이 또 다시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민 흡연율이 지난 10년간 큰 폭으로 내려갔다.
2일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20세 이상 서울시민의 흡연율은 2006년 27.5%에서 지난해 19.9%로 7.6%p 감소했다.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양은 2006년에는 절반에 가까운 49%의 사람이 11∼20개비라고 답햇지만 지난해에는 10개비 이하를 피운다는 응답자가 57.1%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흡연자 가운데 47.1%는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다.
'금연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스트레스 때문에'(55.3%), '기존에 피우던 습관 때문에'(30.4%), '금단증세가 심해서'(9%), '다른 사람이 피우는 것을 보면 피우고 싶어서'(5.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적정 수면·규칙적 운동 등 지표로 따져봤을 때 비흡연자는 흡연자보다 건강 관리에 더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를 챙긴다는 비흡연자는 66.7%였지만, 흡연자는 절반에 못 미치는 48.9%에 그쳤다.
적정한 수면을 한다는 비흡연자는 77%에 달했지만, 흡연자는 67.9%였다.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비흡연자는 42.1%였는데 비해, 흡연자는 29.9%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정기 건강검진 실천도 비흡연자가 61.9%, 흡연자가 51.9%로 각각 집계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