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우리 국민 70%는 안보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전쟁이 발발하면 싸우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0~20대 등 젊은 연령대의 안보의식이 상당히 투철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보훈처는 리서치앤리서치와 함께 작년 10월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나라사랑의식 지수' 설문조사를 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안보 상황이 심각하다고 답변한 사람은 71.4%에 달했다. 이는 2015년 50.9%라는 응답보다 20.5% 포인트 높아진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 세대에 걸쳐 안보불안 심리가 높아졌으나 유독 20대(72.8%), 30대(70.4%)에서 급증했다. 2015년 조사에서는 같은 질문에 대해 20대 44.9%, 30대 43.2%였다.
전쟁이 나면 싸우겠다는 응답도 73.1%로 나타나 시선을 끌었다. 2015년 72.1%보다 1% 포인트 올라갔다. 보훈처는 "학력,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고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높았고 30대 이하는 낮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미동맹이 우리 안보에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는 72.2%가 '그렇다'고 답변했으며, 미국과 북한이 전쟁을 한다면 북한 편을 들겠다는 것에 손을 든 사람은 2.3%에 지나지 않았다.
10대에서는 북한 편을 들겠다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으며, 2015년 조사에서는 청소년 66%, 여성 78%가 북한 편을 들겠다고 답변했다.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연기가 우리 안보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사람은 41.6%로 낮은 편이었다.
국민들의 안보의식 제고를 위해 체계적인 호국정신함양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77.9%로, 2015년보다 2.6% 포인트 상승했다.
단, 최근 3년간 독립·호국 관련 안보현장(독립기념관, 전쟁기념관, 백범기념관, 충혼탑, DMZ, 천안함 등)을 방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37.2%만이 방문했다고 응답했다.
보훈처는 '2016년 나라사랑의식 지수'는 78.9점으로, 2015년 78.1점보다 0.8점 상승했고, 남성이 여성보다, 고연령층이 젊은층보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