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정유라의 범죄인 인도 요구서가 5일 오전(현지시간) 덴마크 법무부에 전달되며 강제 송환하기 위한 절차가 본격 시작됐다.
한국 특검은 정유라 강제송환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이를 계기로 정 씨에 대한 심리적 압박 강도를 높여 자진 귀국을 유도하는 부수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덴마크에서 체포된 뒤 구치소에서 5일째 구금된 정유라는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의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라는 지난 1일 덴마크의 북부도시 올보르에서 체포된 뒤 2일 지방법원에서 '구금 4주 연장'이라는 결정을 받았고, 이튿날 곧바로 구금이 부당하다며 고등법원에 항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정유라는 한때 대법원 상고까지 적극적으로 검토했으나 하급심 결정이 뒤집힐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고심 끝에 이날 상고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유라는 오는 30일까지 구금시설에서 있으면서 덴마크 검찰로부터 한국 강제송환 대상에 해당하는지 조사를 받게 됐다.
대법원 상고를 포기한 것이 자진 귀국 가능성을 내비쳤다기보다는 오히려 검찰에서 한국 송환을 결정할 경우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유라는 지난 2일 구금 기간 연장 심리에서 "보육원이든, 사회시설이든, 병원이든 아이와 함께 있게 해주면 내일이라도 귀국하겠다"며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는 것을 전제로 귀국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아직도 이 생각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 2일 주덴마크 한국대사관 직원이 정 씨를 방문해 한 차례 면회한 이후 정유라가 지금까지 '영사면회'를 요청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도 뒷받침된다.
정유라의 심경에 변화가 있었다면 본인이나 변호인을 통해 이를 한국대사관측에 알리고 조언이나 도움을 구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덴마크가 중요하게 여기는 인권과 관련된 부분에서 강제소환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정유라의 변호인은 이부분을 법정에 어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