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조기 탄핵을 촉구하는 2017년 첫 주말 촛불집회가 7일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개최됐다.
오는 9일 세월호 참사 1000일을 앞두고 열린 이번 주말 집회는 '비선 실세' 최순실씨 국정농단 사건으로 2년여 만에 다시 관심이 집중된 세월호 참사의 의미를 조명하고, 진상 규명과 세월호 조기 인양을 거듭 촉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세월호에서 살아 돌아온 경기 안산단원고 출신 학생들은 참사 이후 처음으로 공개 집회 발언을 통해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 진상을 당연히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민들 관심에서 멀어지는 듯했던 세월호는 국정농단 사건으로 레임덕에 봉착한 박근혜 정부 4년차에 다시 떠올랐다.
국정을 제멋대로 주무른 비선 무리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번 정부의 이같은 '치부'를 상징하는 열쇳말이 바로 '세월호 7시간'이 됐다.
청와대 비서진이 보수단체와 국정원을 동원해 세월호 참사에 관한 부정적 여론을 형성하려 했다는 정황도 드러났다.
세월호는 이제 참사 당시에 버금갈 만큼 전 국민적 분노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업체는 '수사권·기소권을 갖춘 세월호특조위 구성'에 조사 참가자 68.9%가 찬성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동안 세월호은 인양 방법의 세부사항을 놓고 이견을 조율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작업이 시작된 후에는 예상보다 나쁜 기상조건 등 문제로 일정 지연이 반복됐다.
당초 지난해 11월께 완료될 예정이었던 리프팅 빔)설치는 연말인 지난달 26일에야 끝났다. 해양수산부는 "인양 공정률이 75%"라고 밝혔다.
남은 작업은 크게 보면, 세월호 선체 아래쪽에 설치한 리프팅 빔에 와이어를 연결해 들어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만 와이어 연결이 6∼8주 소요되고, 추가로 선체 등에 설치된 유실방지망 상태 확인 및 선체 주변 미수습자 수색, 인양·운송장비 위치 고정 등 작업이 필요하다.
이같은 준비작업은 올 3월 중순께 완료될 전망이다. 이르면 상반기 안에 세월호가 마침내 수면으로 올라올 가능성이 있다.
새해 첫 촛불집회를 앞두고 4.16연대가 긴급현안으로 선정한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이 여야가 충돌할 첫 지점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대표발의한 '사회적 참사의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이 신속처리 법안으로 지정돼 있다.
제2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출범을 골자로 하는 이 법안 통과에 야권과 세월호 가족이 함께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