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13일 오후 2시 서울 종각역 보신각 앞 광장에서 1,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영업정지 철폐를 위한 30만 종사자 총 결의 대회'를 개최했다.
이동통신유통협회는 이날 “영업정지로 인한 피해보상 대해 이동통신사로부터 전혀 들을 게 없다”며 영업정지 철폐를 강력히 요구했다.
|
 |
|
▲ 13일 오후 종로구 관철동 보신각앞에서 열린'이통3사 영업정지 철회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뉴시스 |
이종천 협회 이사는 “정부가 말하는 여신연장, 단기운용자금 지원, 매장 일부 운영비 지원은 전혀 실효성이 없다”며 “이마저도 대리점에 한정돼 있고 판매점에 대한 대책은 나오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부는 이통사의 영업정지와 관련, 대리점에 단말채권 상환기간을 연장하는 등 금융지원을 시행키로 했다. 그러나 대책 중 구체화 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이날 집회에는 우원식 민주당 의원도 참석했다. 우 의원은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시장을 바로잡지 못하고 엄한 사람을 벌주고 있다”며 비판했다.
협회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것은 영업정지기간에 들어가는 임대료와 직원 월급을 이통사가 지원해주는 것이다.
협회에 따르면 번화가에 위치한 대리점의 경우 한달 임대료가 1,000만원이고 직원들 4~5명의 월급이 1,000만원이면 한 달에 2,00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종천 이사는 “여신 연장이라는 게 휴대폰을 채권을 주고 사온 것을 한두 달 연장하는 수준”이라며 “이자를 감면 해줘봐야 몇 백만원 선이고, 단기 운용자금 역시 몇 달 후 갚아야하는 돈”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업정지로 인한 판매·대리점이 피해 받은 2,000만~4,000만원 수준을 전액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통신3사는 영업정지로 45일 동안 1조원에 가까운 마케팅비용을 아낄 수 있지만 대리점은 수천만원의 돈을 잃게된다”며 “이통사가 우리들을 동업자로 생각하고 전향적으로 지원에 대해 고려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명학 협회 회장은 “과거 모토로라가 국내 시장을 장악했을 때 애니콜을 팔아주면서 국내 제조사와 이통사를 도와준게 이들 판매대리점주”라며 “지금 이통사와 제조사가 이렇게 클 수 있었던 것은 현장에서 고객들과 직접 만나며 땀 흘린 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안 회장은 또 이동통신 소상공인을 위해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해 달라는 주문도 요구했다.
그는 “대형 양판점과 유통망은 이번 기회를 발판 삼아 대규모 자본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만들어 시장 전체를 장악할 것임에 틀림없다”며 “이동통신시장의 대기업의 진출은 소상인들을 고사의 길로 접어들게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