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대권주자 중 지지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최근 반미 친북 행보가 세간의 염려를 자아내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 9일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와 만나 북핵 문제에 의견을 같이하고 차질 없는 한반도 사드 배치를 위해 양국 간 공조를 강화하기로 합의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을 두고 “대통령 직무정지라는 탄핵제도를 위반했다”며 비판에 나섰다.

문 전 대표는 주한미군 안전을 보장하고 북한 중장거리 미사일의 방어체계 역할을 하는 사드 배치에 관해 딴지 걸기에 나선 것이다.

문 전 대표의 반미 친북 행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지난 12월 14일 문 전 대표는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주저 없이 말한다”며 “나는 (미국보다) 북한을 먼저 가겠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에 당선됐을 경우, 미국과 북한 중 어디를 먼저 가겠냐는 기자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에 대한 추가 언급으로 문 전 대표는 지난달 26일 열린 '대한민국 바로 세우기 제2차 포럼'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이 무조건 미국에 먼저 가야 한다는 것은 고정관념”이라고 말했다.

1953년 정전 이후 63년 째 주적으로서 대치하고 있는 북한과 대한민국이다. 미국과 우리나라는 1953년 10월 이후 계속 한미동맹을 맺고 있기도 하다.

대통령 당선 후 우리의 최우방국인 미국 보다 북한을 먼저 방문하겠다는 문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해 한미동맹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태도라는 지적이 중론이다.

이뿐 아니다.

논란의 인터뷰 후 이틀이 지난 12월 16일, 문 전 대표는 한 월간지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취임식 때 북한을 초청하겠다”며 “개성공단은 즉각 재개해야 하고 사드 배치는 차기 정권의 과제로 넘겨야 한다”고 선언했다.

반미 행보는 뒤로 하더라도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에는 명백히 친북 노선을 펼치겠다는 문재인 전 대표다.

   
▲ 문재인은 지난달 14일 "(대통령에 당선되면 미국보다) 북한을 먼저 가겠다"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문제는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의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서 밝혀진 노무현 정권의 대북 결재 사건에 대한 검증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당시 비서실장으로 소위 ‘대북 결재’를 제안한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대두되고 있다.

2007년 노무현 정부 비서실장이었을 당시 문 전 대표는 UN의 대북제재 표결에 앞서 북한의 허락을 받자고 제안했고, 우방국 미국에는 이에 대한 통보를 의도적으로 미루는 등 충격적인 행위를 했다는 의혹이 송 전 외교부 장관에 의해 폭로된 바 있다.

이러한 과거 이력 때문에 문재인의 행보 및 안보관에 관한 의심의 눈초리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재인의 이러한 반미 친북 행보에 대해 염려하는 건 국내뿐만이 아니다.

맥스 부트 미국외교협회 연구원은 지난달 27일 미국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 기고문을 통해 문재인의 반미 친북 성향과 주한 미군 철수 가능성을 언급했다. 부트 연구원은 문재인 전 대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주한민군 비용문제로 트럼프와 충돌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야당의 유력한 대권 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는 친북 성향이 더 강하다”며 “만약 문재인과 이재명, 두 대권 주자 중 대통령이 나올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의 주한미군 주둔비 증액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어 부트 연구원은 “주한 미군 주둔비 협상이 결렬될 경우 주한 미군은 철수할 것”이라며 “한국 및 태평양 지역에 큰 안보 위기가 올 것은 물론 한미 동맹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