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회사인 샌디스크가 일본 도시바에 이어 SK하이닉스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15일 일본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샌디스크는 SK하이닉스가 자사의 기술을 유출했다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샌디스크는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해달라고 법원에 요구했으며 손해배상도 함께 청구했다.

일본 경찰은 도시바와 제휴관계에 있던 샌디스크의 기술자가 2008년 SK하이닉스로 이직하면서 메모리 연구 관련 기밀을 빼돌려 제공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직원은 2011년께 SK하이닉스에서 퇴직했으며 현재 일본 경찰에 체포돼 조사를 받고 있다.

앞서 도시바도 지난 13일 SK하이닉스가 자사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무단으로 취득해 1,000억엔(약 1조530억원)이 넘는 손실이 있었다며 도쿄지방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전문가들은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는 한국 업체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시바는 낸드플래시 원천기술을 보유한 업계 최강자였지만 지난 2002년 삼성전자에 추월당한 뒤 지금까지 업계 2위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3·4분기 기준으로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6.8%로 1위, 도시바가 33.5%로 뒤를 이었다. 이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러지(15.3%)와 SK하이닉스(14.3%)가 각각 3,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낸드플래시 메모리는 D램과 달리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할 수 있으며, 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저장장치와 차세대 저장장치로 불리는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에 쓰인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