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국내외 악재와 일본 수출 부진 등으로 농식품 수출액이 목표에 크게 미달했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작년 농식품 수출액이 64억68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15년(61억1000만 달러)보다는 5.9% 증가했지만 정부 수출 목표인 81억 달러의 79% 수준이었다.
|
 |
|
▲ /연합 |
작년에는 연초부터 일본과 중국 등 주요 상대국으로의 수출이 미진했다. 3월 이후 수출액이 반등했지만, 브렉시트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 불안과 사드배치에 반발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조치, 한진해운 발 물류난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수출 여건이 안 좋아졌다.
그러나 지난 9월 추경편성(104억 원)을 통해 '농식품 수출 극대화를 위한 100일 프로젝트' 등으로 물류비를 추가 지원하고 현지 판촉 마케팅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한 것이 일정 부분 성과가 있었다.
국가별로 보면 최대 수출국인 일본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0.8% 감소한 11억5900만 달러에 그쳤다. 엔고 등의 영향으로 이 나라 경제여건이 개선됐으나 그 회복 속도가 더딘 탓이다.
대중국 수출액은 한한령에도 내륙 매장 진출을 비롯해 온라인몰 입점 등 수출 판로가 확대되며 전년 대비 4.7% 증가한 10억9700만 달러로 드러났다.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으로의 수출액은 4.4% 늘어난 17억2400만 달러였다. 미국(7억1700만 달러)으로의 수출은 14.2% 증가했고, 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3개국(11억800만 달러)으로의 수출은 7.8%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인도, 브라질, 카자흐스탄 등 신시장을 개척하고 국가별 맞춤형 수출 마케팅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수출과 농가소득 간의 연계를 높이기 위해 국가 인증제품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