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국정 역사 교과서 최종본이 각계의 반발 속에 31일 공개된다.
교육부는 30일 당초 계획대로 오는 31일 이영 교육부 차관의 주재로 국정교과서 편찬심의위원과 검겅교과서 집필 기준을 공개한다고 이날 밝혔다.
교육부는 올해 희망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해 국정교과서를 쓰도록 하고 내년부터는 전체 중·고교에서 국정과 검정 교과서를 함께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
 |
|
▲ 사진=TV조선 방송화면 캡처. |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중학교 국정 역사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현장검토본을 펴내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당시 건국절 논란에 휩싸인 '대한민국 수립'의 표현과 박정희 전(前) 대통령 미화 논란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국정교과서 최종본이 현장검토본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재점화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이 정부의 국정교과서 강행에 반발, 연구학교 지정 절차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밝혀 얼마나 많은 학교가 연구학교로 지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점도 문제다.
국정교과서를 아예 법으로 금지하자는 움직임도 교육부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20일 전체회의에서 '역사 교과용 도서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특별법'(국정교과서 금지법)을 의결했다.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도종환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이 법은 국가가 저작권을 가진 교과용 도서를 역사 교과에 한해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 발의에 참여한 민주당, 국민의당 의원들은 교육부의 국정교과서 강행에 제동을 걸기 위해 3월 새학기 전에 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