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44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온난화 기후 변화에 따른 어장 변화와 함께 최근 중국 어선들의 불법조업이 겹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동향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2만3000t으로 전년 대비 12.7% 감소했다.
이는 1972년(95만6276t) 이후 44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생산량이 정점을 찍었던 1986년(173만t)과 비교하면 30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줄었다.
어선 1척당 생산량은 지난해 251.6t, 연안 어업은 6.2t 등으로 나타났다. 1972년에는 생산량 370.3t, 연안 어업은 10.1t이었다.
연근해의 생산량 감소는 곧바로 밥상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통계청 발표를 살펴보면 지난해 신선어개(생선과 조개류)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3.1%로 지난 5년 중 가장 높았다. 이는 전체 물가지수 상승률(1.0%)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수산자원 급감의 주범으로 꼽히는 것은 단연 중국의 불법조업이다.
KMI에 따르면 중국의 불법 조업으로 인한 수산자원 손실은 최소 10만t에서 최대 65만t으로 추정된다.
중국 어선들의 불법 조업은 서해 5도뿐만 아니라 남해와 동해 등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게다가 점차 조직화·흉포화되고 있다.
실제로 동해에서는 북한 수역에 진을 치고 있는 중국 어선들이 남쪽으로 이동하는 오징어 지원을 싹쓸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근해 어획량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남해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밖에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높아지면서 주요 어종이 잡히는 위치가 바뀌거나 이동 시기가 바뀌는 등의 어장 환경 변화도 수산 자원 고갈의 한 요인이다. 국내 어선들의 과도한 어획으로 '바닷속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는 것도 어업 생산량을 떨어트리고 있다.
한편 해수부는 종합 대책을 담은 '6대 혁신방안'(가칭)을 마련해 이르면 내주께 발표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