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한국을 방문한 오공태 재일본 대한민국민단(재일 민단) 중앙본부 단장이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과 관련해 “이전해주시면 좋겠다”고 밝혔다. 

오 단장은 6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윤병세 장관과 면담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한일관계 냉각 원인이 부산 소녀상 설치라고 보냐’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방한 목적을 묻는 질문에도 “지금 한일관계가 고생이 많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며 “국회의원들과도 만나 이런 이야기를 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이명박) 대통령이 (2012년에) 독도에 가시고 나서 5~6년간 고생을 많이 했다”면서 “헤이트 스피치로 ‘한국인 죽어라’ 이런 식으로 시위을 하고 있었다. 지난해 6월에 민단이 노력해 (이를 막기 위한) 법안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리고 나서 점점 한일관계가 좋아지고 있었는데 그 중에 이런 일이 일어났으니까 우리도 걱정이다”며 “일본에서 장사가 안돼 자살한 사람도 있다. 그런 사정을 좀 보고하려고 왔다”고 덧붙였다.

오 단장은 재작년 한일간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서는 ”그때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수상이 진짜 고민해서 내린 결론이라고 받아들이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 측에 소녀상에 대한 조치를 요구할 생각이 있냐’고 묻자 “그런 이야기는 안 한다. 정부에서 하는 일이니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녀상 이전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 재일동포도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는 “있다. (신년사에서 동포의 공통된 생각이라고 한 것은) 잘못했다. 제가 사과드린다”고 답했다. 

‘소녀상 이전에 반대하는 한국 국민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오 단장은 “기회가 있다면 (우리 입장을) 설명하겠다. 재일동포 입장에서 그 부분은 진짜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민단 대표단의 윤 장관 면담은 민단 측의 요청에 의해 이뤄졌다. 윤 장관과 민단 측의 면담은 2013년 이후 처음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방한 기간동안 윤 장관 외에도 국회의원 등을 만나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재일동포의 고충 등을 전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오 단장 등 민단 대표단을 만나 “국내 어려운 일이 많을 때마다 70년동안 민단에서 항상 성원해줘서 감사하다”면서 “앞으로도 한일관계가 잘 갈 수 있도록 저희도 노력하고 민단에서도 가교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