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최근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 유플러스)에 대한 영업정지와 관련해 판매 장려금을 줄이고 출고가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일선 대리점에 지급되던 판매 장려금 규모를 대폭 줄이고 단말기 가격을 낮추는 방향을 검토 중이며 이와 관련해 조만간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
 |
|
▲ 삼성전자는 지난달 24일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4’ 에서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를 전격 공개, 4월부터 전세계 150여국에 동시 판매한다./삼성전자 제공 |
이 같은 결정은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내 제조사를 대상으로 가계통신비 절감 등을 이유로 휴대폰 출고가격을 내려 줄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12일 미래부로부터 휴대폰 출고가 인하에 대한 협조 공문을 받았으며, 이에 ‘갤럭시S5’의 가격을 80만원 중후반대로 낮춰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신제품 출시 직전 재고를 소진시키기 위해 과도한 보조금을 실어 보조금 규모가 80만~90만원 수준으로 올라갔다는 소문이 돌면서 불법 보조금의 공범으로 지목됐다.
정부 역시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을 통해 보조금 시장을 투명화해야 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은 판매 장려금을 줄이고, 출고가도 낮추는 등 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통사들은 삼성이 판매 장려금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기적으로 재고를 털기 위해서는 보조금을 안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장려금을 없애면 보조금 시장의 안정화에는 기여를 하겠지만, 음성적으로 투입되는 장려금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비싸게 휴대폰을 살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으로 쓰는 돈 만큼 출고가를 더 내려야하지만 반대로 출고가는 적게 내리고 보조금은 대폭 줄인다면 소비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