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 10명 중 7명 정도가 아침식사를 하는 가운데, 20대의 아침 결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하는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우리나라 성인의 식생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아침식사 결식률은 남자 29.5%, 여자 26.1%로 조사됐다.
10년 전(2005년)에 비해 남녀가 각각 9.1%p, 4.2%p 늘어나 아침식사를 거르는 성인이 갈수록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별 결식률은 20대(19~29세) 남자의 51.1%, 여자의 46.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30∼49세) 남녀는 각각 32.4%와 25.6%가 뒤를 이었다. 50~65세 남녀는 11.3%와 14.5%, 65세 이상은 5.0%와 6.5%로 각각 집계됐다.
성인은 아니지만, 19세 이하에서 남자 29.5%, 여자 22.9%가 아침을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 못지 않은 아침식사 결식률을 보였다.
한편 정부는 국민건강종합증진계획(HP2020)에 따라 아침식사 결식률을 18.3%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