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 사이에서 아버지가 육아에 쏟는 질적·양적 노력에 대한 인식차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육아정책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8월 영아와 유아,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 15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버지들은 주중 두 시간 이상 자녀를 돌본다고 답했다. 그러나 어머니들의 경우 남편의 육아 시간이 두 시간 미만이라고 반박했다.
영아(생후 12∼36개월 미만) 자녀를 둔 아버지 가운데서는 주중 자녀를 돌보는 시간이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5.7%로 가장 많았다. 유아(36개월∼취학 전)의 아버지는 41.3%, 초등생 아버지는 36.9%였다.
하지만 아내들의 생각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남편의 육아 시간이 '주중 2시간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영아 어머니의 38.2%, 유아 어머니의 48.3%, 초등학생 어머니의 46%가 해당 항목을 택했다.
아버지의 육아 역량에 대한 평가에서도 비슷한 차이가 드러났다.
아버지들은 자신의 육아 역량 점수를 4점 만점에 3.5점을 줬다. 어머니들은 남편의 육아 역량을 3.3점으로 평가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