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북한이 핵무기 뿐 아니라 화학무기를 사용해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며 북한의 유엔 회원국 자격 및 특권을 정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병세 장관은 이날 제네바 군축회의 고위급회기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지난해에 이어 다시 제네바 군축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우리나라 외교부 장관이 2년 연속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발언한 것은 처음이다.
특히 윤 장관은 “국제공항에서 국제법상 엄격히 금지된 화학무기 VX를 사용한 김정남 살해사건에 국제사회가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말레이시아 정부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유엔 안보리와 화학무기금지조약(CWC) 회의 등에서 이번 사건을 우선순위로 다루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또한 “북한이 김정남 살해에 사용한 VX 신경작용제를 포함해 화학무기 수천t을 보유하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
 |
|
▲ 윤병세, 제네바 군축회의서 "북 화학무기 도발 가능"./사진=외교부 제공 |
윤 장관은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 및 각종 도발을 통해 지난 70년 유엔 역사상 유례없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왔다”며 “국제사회가 북한을 좌시하지 말고 ‘규범파괴자’인 북한이 회의장에 앉지 못하도록 무관용하게 강력히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열린 유엔인권이사회(UNHRC)에 이어 윤 장관은 연이틀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압박한 것이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 “김정남 살해사건 이후 G20 외교장관회의와 뮌헨안보회의,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내고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하여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를 공고히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윤 장관은 이날 유엔 고위급 회기 참석을 계기로 자이드 유엔 인권최고대표와도 면담하고 김정남 VX 암살 사건 및 북한 인권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전날 개막한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도 윤 장관은 북한 정권의 김정남 암살을 비판하면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김정은 정권 제소를 추진해야 한다고 하는 등 북한을 압박한 바 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