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CEO 대부분은 이상이 우리나라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 절반은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저성장 지속에 따른 중소기업 대응전략’을 설문한 결과, 중소기업인의 90.3%는 우리경제의 저성장이 ‘심각하다’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어 온 저성장 경제하에서 기업성장도 ‘쇠퇴’가 34.7%, ‘정체’가 38.0%인 반면 ‘성장’은 27.3%로 집계됐다.
저성장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침체’(6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동종업계 과당경쟁’(41.8%), ‘원부자재 가격상승’(40.4%), ‘낮은 납품단가 등 대·중소기업간 불공정거래’(36.6%)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부분의 중소기업인(92.7%)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이 적어도 2년 이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업체의 36.3%는 저성장 지속에 따른 대응전략이 있는 반면, 절반정도(51.0%)가 대응전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대응전략으로는 ‘비용 절감 체제 구축’(36.7%), ‘혁신적 신기술·신제품 개발’(33.9%)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대응 전략이 없는 기업의 경우 그 이유로는 ‘자구 노력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66.6%),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모르기 때문’(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해철 중소기업중앙회 정책개발1본부장은 “정부의 규제개혁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내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며 “중소기업 스스로도 신기술·신제품 개발 등을 통해 저성장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