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 전국 83개 중ㆍ고등학교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신청했다.
|
 |
|
▲ 전국 83개 중ㆍ고등학교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신청했다./사진=교육부 |
교육부는 6일 공립 21개교, 사립 62개교 등 총 83개 중ㆍ고교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자료, 도서관 비치 자료, 보조교재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일까지 2주간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희망 신청서를 접수받았다.
교육부는 상설연구학교 중 9개교·고 11개교, 특수목적 국립고 8개교 등 전국 28개 국립 중·고교와 22개 재외 한국학교에도 국정 역사교과서를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연구학교와 희망학교를 통해 국정 역사교과서의 현장 적합성과 완성도를 더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될 국·검정 교과서가 올바른 국가관과 미래지향적 역사인식을 확립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역사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역사교육 연구학교로 지정된 문명고가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학교의 자율적인 운영이 침해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학교를 적극 보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단체들은 교육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배치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내놨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학교가 권한을 가진 연구학교 신청과 보조교재 등 활용 여부에 대해 학교에 의사 전달 차원을 넘어 압박이나 협박 등을 가하는 것은 비교육적이고 비민주적인 행동"이라며 "학교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행동을 삼가라"라고 촉구했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교사들이 반발하는 상황에서 실제로 국정교과서는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국정교과서 정책의 실패를 은폐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