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차은택(48) 광고감독과 김성현 전 미르재단 사무부총장이 미르재단을 둘러싼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과 관련하여 법정에서 진실공방을 벌였다.

8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공판에서 김성현 전 부총장은 차은택 씨와 "최순실(61)씨 측으로부터 책임을 모두 떠안고 가라"는 말의 진위 여부를 두고 설전을 가졌다.

'중간 전달자'로 지목된 김 씨는 검찰이 "소위 총대를 메야 한다는 얘길 한 적이 없나"라고 묻자 "사실과 다르다"며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졌던) 당시 차씨가 외국에서 심적으로 많이 괴로워했던 것으로 알고 있으며, 차씨가 당시 최씨 쪽에서 다 뒤집어씌우려 한다는 심적 괴로움이 컸다. 두 사람의 관계를 모르는 상태에서 그런 이야기를 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차씨는 "최씨가 책임을 모두 자신에게 넘기려는 뜻을 김씨를 통해 전달했다"고 밝혔다.

차씨는 법정에서 김씨에게 직접 질문하면서 "내가 중국에 있을 때 통화하며 분명히 내게 '형, 회장님이 저(김성현)는 가볍게 가야 된대'라고 토씨 하나 안 빠지고 이렇게 말했다"며 "한두 차례도 아니고 십여 차례"라고 강조했다.

김씨가 이에 "가볍게 가야 한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답하자 차씨는 "(진술이) 틀리면 본인(김씨)은 위증이다"라며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

   
▲ 차은택-미르 前부총장, 최순실 재판서 진실공방 벌여./사진=연합뉴스


다만 김씨는 이날 "장순호씨가 차씨와 만날 수 있는지 확인해달라고 부탁했고, 최씨도 한 차례 정도 '차씨가 지금 당장은 (한국에) 안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을 내가 (차씨에게) 전달한 적은 있다"며 "최씨가 해외에 머물던 차씨와 직접 통화했다는 이야기를 양쪽으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또한 "그때 중국에서 그대로 귀국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은 전달하긴 했지만 차씨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김씨와 차씨, 두 사람은 원래 광고업계 선후배 사이로 호형호제하며 돈독한 사이였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