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국정 역사교과서를 보조교재 또는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교육부에 신청한 학교가 접수 기간이 끝난 이후 더 많아졌다.
8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93개 학교가 5848권의 국정 역사(중학교)·한국사(고등학교)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신청했다.
앞서 공식 접수 기간인 3일까지는 83개(공립 21개·사립 62개) 학교가 3982권을 신청했었다.
|
 |
|
▲ 사진=연합뉴스TV 영상캡처 |
이후 이날 현재까지 9개 학교(165권)가 신청을 철회하고 19개 학교(2031권)는 추가로 신청서를 내 결과적으로 10개 학교가 늘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지역 학교가 가장 많은 24곳, 서울 14곳, 충남 12곳이다. 이후 경기 9곳, 대구 8곳, 부산 7곳, 경남 6곳, 대전 5곳, 울산 4곳, 충북 3곳, 인천 1곳 순이다.
교육부가 국정교과서를 일괄 배포키로 한 국립학교 28곳과 재외 한인학교 22곳까지 합산하면 총 143개 학교에 약 7500권의 교과서가 배포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앞서 일선학교의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신청을 방해한 서울시교육청 등 일부 교육청이 국정교과서 활용 희망학교 명단 조사에 나서는 등 간접적 압력을 넣는 데 대해 "학교의 자율성이 침해되는 상황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학교의 자율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각 시·도 교육청과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논란이 된 일부 교육청은 국회 요구 자료를 제출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한 것이며 학교명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