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금융당국은 헌재의 탄핵 인용으로 조기대선이 치러지게 됨에 따라 150개 종목을 대선테마주로 분류해 집중 감시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3일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과 함께 합동점검반을 상시 운영하기로 했다.
합동점검반은 조기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판단하고 국내외 시장동향, 주가조작, 내부자거래, 공시위반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비상상황에 즉시 대처가 가능하도록 했다.
금융위는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되면 즉시 조사에 착수하고 무관용으로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면서 투자자들에게 주의환기를 주문했다.
이미 금융당국은 지난해 12월 검찰과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치테마주 특별조사반을 운영해 왔지만 이번에 좀더 강화하는 것이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허수호가, 통정·가장성 매매, 상한가 굳히기, 초단기 시세교란 행위를 적극 적발하고, 금융위와 금감원은 해당 종목 및 대상계좌를 면밀히 조사해 불공정거래 처벌 및 시장질서 교란행위로 과징금을 부과한다.
거래소는 최근까지 총 150개 종목에 대한 집중모니터링을 실시해 불건전 위탁자에 대한 예방조치 589건을 실시했고, 사이버루머 빈발 상장기업에 사이버 경보(Alert)를 발동했으며, 일부 이상 매매계좌에 대해서는 긴급심리를 실시했다.
금감원도 정치테마주 특별조사반을 통해 8개종목을 조사하고 있으며, 제보 접수된 4개종목과 자체 모니터링으로 인지한 1개 종목 등 5개 종목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온라인상에서 풍문·허위사실 유포가 발생하면 요주의 게시자의 게시글과 해당 종목 매매의 연계성을 분석해 불공정거래 혐의점을 발견하면 즉시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증권방송이나 증권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 상에 정치테마주가 언급되지 않도록 협조도 요청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투자자는 확인되지 않은 테마로 주가가 급등한 종목에 추종매수를 자제하고 단순한 허위사실·풍문 전달도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전달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