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하여 국민연금이 찬성하도록 부당한 압력을 가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로 구속기소된 문형표(61)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특검 조사에서 "오해를 산 것은 불찰이지만, 사익 추구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으며 청와대에서 지시를 받지 않았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조의연 부장판사 심리로 13일 열린 1차 공판에서 박영수 특별검사팀(이하 특검)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문 전 장관의 진술조서를 공개했다.
문형표 전 장관은 특검 조사에서 "(복지부) 회의 참석자 모두가 합병 찬성을 성사시키도록 국민연금에서 해줘야 한다는 묵시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며 "장관으로서 책임 있는 발언을 했어야 하는데 경솔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오해를 살 수 있었지만 이는 도의적 책임에 불과하며, 사익 추구가 아니고 청와대 지시 또한 받은 바 없다는 문 전 장관의 진술이다.
이와 관련 문 전 장관은 조사에서 "여러 상황이나 친분을 고려하면 안종범(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김진수(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 라인일 수도 있다"며 "공적이고 객관적인 회의를 주재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
 |
|
▲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삼성 합병과 관련하여 청와대의 지시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
특검은 문 전 장관이 의결권전문위 위원들 성향을 분석한 후 합병 반대 움직임을 경계하면서 삼성 합병 안건을 투자위원회에서 다루도록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검은 문 전 장관에 대해 "이재용(49·구속기소)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목적으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국민연금이 찬성하도록 2015년 6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부당한 압력을 가했다"고 보고 있다.
문 전 장관은 특검이 맨 처음 재판에 넘긴 피고인이기도 하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