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외교부는 오는 17~18일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한일 방문에 대해 “한미일 3국 대북 정책 마련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공동의 대북전략 및 정책 수립을 위해 심도 있는 협의를 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한미일 3국은 긴밀한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이와 관련, 지난 13일 주유엔 북한대표부가 ‘핵 포기 목적이라면 어떠한 대화에도 관심 없다’고 밝힌 것에 대해 조 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 포기 의사가 전무함을 재차 강조한 것은 북한의 무모함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며 지적했다.
또한 조 대변인은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방한을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더불어 화학무기 사용 및 인권침해에 대한 국제사회 대북 압박이 전방위적으로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
 |
|
▲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일본을 거쳐 오는 17~18일 방한한다./사진=미디어펜 |
한미일 3국은 지난달 16일 외교장관회담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 도발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북핵문제에 있어 ‘북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폐기’를 목표로 공동의 대북 정책방향을 마련하기로 정한바 있다.
이어 지난달 27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서 3국은 관련 구체 사항들에 대해 논의했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일본을 거쳐 오는 17~18일 방한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예방하고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회담할 계획이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