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우리나라 20~30대 미혼남녀 10명 중 4명은 '무자식이 상팔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청년층의 비혼에 대한 인식과 저출산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39세 미혼남녀 1073명(남자 536명·여자 537명) 중 '자녀가 없어도 괜찮다'(36.2%) 혹은 '없는 것이 낫다'(6.1%)라고 응답한 사람은 42.3%에 달했다.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14.8%에 불과했다. 실제 조사 대상자의 77.4%는 '자녀가 없어도 충분히 행복한 결혼생활이 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럼에도 결혼 후 출산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75%가 '아이를 낳을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아이를 갖고 싶지 않다'는 나머지 25%는 그 이유로 '아이를 키울 자신이 없어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서', '아이에게 구속받고 싶지 않아서', '현재 일에 집중하고 싶어서'를 꼽았다. 

특히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양육할 수 없다면 자녀를 낳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에 응답자 62.6%가 동의하는 등 미혼남녀들은 자녀 양육에서 경제적 조건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출산과 양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조건에 대해서는 '경제적 안정'(77.7%)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과 가정 양립의 기업문화 개선'(34.4%), '배우자와 가사·육아 분담'(32.2%),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보육시설'(15.4%) 순이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