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D램 시장이 3년만에 성장 국면에 들어섰다.
30일 시장조사업체인 IHS아이서플라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D램 시장 매출액은 350억1500달러로 전년 264억1800만 달러 대비 32.5% 증가했다.
전세계 D램 시장은 2009년 227억1200만 달러에서 2010년 396억7600만 달러로 무려 74.7%나 성장했다.
|
 |
|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삼성전자 깃발이 휘날리고 있는 모습./뉴시스 |
그러나 2011년에는 전년 대비 25.5% 감소한 295억6800만 달러, 2012년에는 264억1800만 달러로 10.7% 줄었다.
업체별 D램 매출을 살펴보면 삼성전자는 전년 108억1700만 달러 대비 17.2% 늘어난 126억7800만 달러로 1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점유율은 전년 40.9%에서 36.2%로 4.7% 하락했다.
IHS아이서플라이는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떨어진 것은 지난해 PC D램 가격이 갑작스럽게 상승한데 따른 것으로, 삼성은 PC D램 가격이 정상적으로 낮아지기 시작한 지난해 4분기에는 39.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PC D램 가격 하락세는 올 1분기에도 지속할 것으로 보여 시장이 정상화 되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40% 이상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SK하이닉스가 전년 64억8500만 달러에서 44.6% 늘어난 93억7800만 달러를 기록해 2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2012년 24.5%에서 지난해 26.8%로 소폭 늘었다.
일본 엘피다를 인수한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전년 31억4100만 달러에서 139.1% 증가한 75억23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11.9%에서 21.5%로 상승했다.
한편 올해 전세계 D램 시장은 2013년 대비 18% 성장한 413억34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