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한국 노동자들의 '실질은퇴연령'이 남성 72.9세, 여성 70.6세로 OECD국가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질은퇴연령과 '공식은퇴연령' 간 격차도 OECD국가 중 가장 높다.
만 55세 이상 장년층 노동 인구가 증가 추세로 고용율 상승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공식 은퇴 후에도 노동시장을 떠나지 못하는 장년층이 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2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분석한 '장년층 일자리 현황과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09~2014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실질은퇴연령은 남성 64.6세, 여성 63.2세인 반면 한국의 실질은퇴연령은 남성 72.9세, 여성 70.6세를 기록했다.
실질은퇴연령이란 노동시장에서 빠져나와 더 이상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나이를 의미하고, 공식은퇴연령은 연금 수급개시연령(61세)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실질은퇴연령과 공식은퇴연령의 격차는 남성 11.9세, 여성 9.6세로 나타나 OECD 가입국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한국은 2016년 기준 55세 이상 장년층 인구의 48.4%가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보다 3.2%p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는 같은 기간 동안 남성은 2.1%p 증가한 61.6%가, 여성은 3.6%p 상승한 37.3%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 중 55~59세 연령 고용률이 84.4%로 10년전대비 3.9%p 상승했다. 60~64세 남성의 고용률은 67.5%(2007년)→71.7%(2016년)로 10년간 4.2%p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65~69세 고용률은 56.5%, 70세 이상 연령층은 32.5%로 모두 하락했다.
여성 장년층의 최근 10년간 고용률도 상승세다. 연령층별로 55~59세(57.6%)가 가장 높은데다 10년전대비 7.6%p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60~64세는 48.1%, 65~69세 35.1%였다. 70세 이상이 17.9%로, 2014년을 정점으로 찍은 후 2015년부터 하락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