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한국과 중국은 10일 서울에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북한 핵실험 및 ICBM 발사시 강력한 추가조치를 취하는 것에 대해 합의했으나, 중국 측은 기존의 사드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이날 협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북한이 도발을 지속하는 상황에서는 안보리 결의 이행 등을 포함해서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북한의 도발 지속 상황에서 한중이 추진하기로 한 '강력한 추가 조치'는 북한의 4차(작년 1월) 및 5차 핵실험(작년 9월)에 대응해 채택된 안보리 결의 2270호와 2321호 이상의 제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북핵 해법에 대해 김 본부장은 "양측은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이끌어내는 데 한중 협력과 5자(한·미·중·러·일)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와 관련한 양측의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상호 편리한 시기에 내가 다시 베이징(北京)을 방문해서 우 대표와 협의를 갖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편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와 관련해 김 본부장은 우 대표와 "우 대표가 중국의 기본 입장을 되풀이했다"면서 "우리는 중국 측의 부당한 조치가 즉각 중단되도록 하는 중국 정부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하면서 문제의 근원인 북핵 위협을 중단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이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날 우 대표는 중국의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고 안보리 결의의 철저한 이행을 포함,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 비핵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데에 합의했다고 전해졌다.

   
▲ 10일 외교부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수석대표 협의를 가졌다./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