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외교부는 11일 초강력 대북 메시지를 담은 G7 외교장관회의의 공동성명 채택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 이에 "북한이 국제질서에 가장 심각한 도전이라는 국제사회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논평했다.

10~1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루카에서 열린 G7 외교장관회의는 '북한 문제가 국제사회의 최우선(top priority) 아젠다'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열렸다.

이날 G7 외교장관들은 북한의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했고 북한 핵 프로그램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CVID)으로 폐기할 것을 촉구하는 규탄성명을 공동으로 채택했다.

이번 성명은 지난 해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북한의 위협이 '국제사회에 새로운 차원의 도전을 야기하고 있다'고 규정했다.

특히 이번 G7 외교장관회의 성명은 올해 들어 열린 주요 다자회의 중 처음으로 북핵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서, 지난 2월13일 말레이시아 공항에서 일어난 북한의 김정남 VX암살 사건과 관련해 북한의 화학무기 사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 G7 외교장관회의는 공동성명 채택을 통해 "북한 문제가 국제사회의 최우선 아젠다"라는 인식을 공유했다./사진=연합뉴스


외교부는 이번 G7 공동성명에 대해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 등 국제규범을 상습적으로 위반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는 북한이 규범에 입각한 국제질서에 가장 심각한 도전이자 규범 파괴자라는 최근 국제사회에서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번 공동성명은 인도에 반하는 범죄(crimes against humanity) 수준의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우려, 강제노동(forced labor)에 준하는 북한 해외노동자 착취에 대한 우려, 북한 주민의 민생과 복지를 외면한 핵·미사일 개발로의 재원 전용에 대한 개탄 등의 내용을 담았다.

북한 인권 및 인도주의 상황에 대한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이번 성명에 대해 외교부는 "북한 인권 침해 관련 책임규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