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지속 중이다.

통계청은 2일 '4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면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고 밝혔다.

석유류 물가 상승률이 석 달째 10%대를 기록하고 가중치가 큰 전세·외식 등 서비스물가가 2%대 상승률을 유지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5%를 밑돌다 지난 1월 2%대로 올라선 뒤 2월 1.9%, 3월 2.2% 등 2% 내외를 유지 중이다.

4월엔 작년 저유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석유류 물가가 11.7%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가 0.48%p 올랐다. 석유류 상승 영향으로 공업제품 물가는 1.5% 올랐으며 농축수산물 물가는 4.5% 상승하면서 전달(5.8%)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농축수산물 중에선 축산물이 8.7% 상승했지만 채소류는 6.0% 내렸다. 집세를 포함한 서비스물가는 2.2%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1.21%p 올렸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3% 상승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5% 올랐다. 이는 2014년 12월 1.4%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하면서 석 달째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쌀, 두부 등 식료품과 생필품, 공공요금 등으로 구성된 생활물가 상승률이 높으면 체감 물가가 실제 지표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

신선식품지수는 4.7% 상승해 작년 8월 1.1%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신선과실(16.2%), 신선어개(5.6%)는 상승했지만 신선채소가 6.1% 하락하면서 전체적인 상승폭을 줄였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