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3년 뒤인 2020년 우리나라의 간호사가 11만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의료인력 수급난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분석자료가 나왔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간호사가 11만명 부족하고, 2030년에는 15만8000명까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의사와 약사도 2020년에 각각 1800명과 7000명 부족하고, 2030년에는 부족한 숫자가 각각 7600명, 1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치과의사는 2020년 1500명, 한의사는 1000명씩 과잉공급 상태가 되고 2030년에 그 규모가 각각 3000명, 14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의료인력 1인당 환자 수(2012년 기준)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에 따라 인력 수요와 공급을 예측해 얻은 수치다. 다만, 직종별 평균 근무일수 차이나 지역·의료기관간 분포 등은 반영되지 않았다.
보고서는 신규 의료인력이 꾸준히 배출되는 데도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것은 환자 안전과 감염 관리 기준 강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확대, 해외 환자 유치 증가 등으로 의료인력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한국의 의료인력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OECD 회원국의 인구 1000명당 활동하는 의료인력(2015년 기준 평균)은 의사 3.3명, 간호 인력 9.5명이지만 한국은 한의사를 포함해 의사 2.3명,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간호 인력 6명에 그쳤다.
보건복지부는 적정 규모의 의료인력이 현장에 충원될 수 있도록 신규 인력 배출 규모를 늘리고, 유휴 인력 재고용을 추진하며, 경력 단절을 방지하는 등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 관리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