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경련 회장 “대·중소기업, 생산적 파트너십 강화해야”

올해 30대 그룹이 연구개발(R&D), 경영혁신, 해외 판로개척 등 협력사의 기업역량을 강화를 위해 1조7161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지난해 1조5942억원 보다 7.6% 늘어난 수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동반성장위원회는 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제계의 2014년 동반성장 실천계획과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 허창수 전경련 회장/뉴시스

분야별로는 판매·구매(5592억원), 생산성 향상(4527억원), R&D(2855억원) 등 협력사의 기술력과 경영성과 개선에 대한 지원비중이 각각 32.6%, 26.4%, 16.6% 순이다.

해외 판로개척, 보증·대출, 인력 양성 부문은 각각 전년대비 16.5%, 11.5% 10.5% 증가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앞으로 한국경제를 선도할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대·중소기업이 함께 창의성과 도전성 등 진취적인 기업가정신을 발휘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을 넓혀나가는 생산적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금승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한국경제가 성장정체를 벗어나 대도약을 위해 새로운 성장모멘텀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를 실천하기 위한 ‘경제계의 동반성장 4대 추진전략’으로 “▲진취적 기업가정신으로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 ▲기술개발·판로개척 지원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협력사 육성 ▲성과공유 확대로 협력사의 성장동력 확보 ▲2·3차 협력사 경영혁신 지원”을 제시했다.

또 ‘포스트 동반성장 4대 정책과제’로 ▲기업별 특성과 역량이 발현되는 정책환경 조성 ▲공유가치 창출(CSV)형 상생모델 확산 ▲동반성장 파트너로서 중소기업의 자생력 제고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 문화 확산 등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