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0일 첫 전화통화를 가진 후 한미정상회담 개최가 세간의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북핵 대응 공조를 가장 큰 이슈로 삼아 이르면 6월쯤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11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6월 중 문 대통령이 방미해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이 유력하며, 북핵 등 북한 문제에 대한 한미간 대응 공조가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만나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공식적으로 초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동맹에 관해 "우리 외교·안보 정책의 근간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언급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단순히 좋은 관계가 아니라 위대한 동맹관계"라고 말했다.

   
▲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 첫 전화통화를 가졌다./사진=연합뉴스


일각에서는 7월에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독일 함부르크)에서 한미 정상이 대면할 수 있으나 한미정상회담을 그 시기에 추진한다면 조기 개최라고 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외교안보수석과 외교부 장관 인선이 이뤄지는 대로 한미정상회담 세부 협의를 위한 방미 특사단 파견 논의에 들어간다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한미 외교당국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을 위해 이달 중 한국의 방미 특사단 파견 및 미국의 고위급 자문단 방한을 각각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정상회담의 의제로는 북핵 대응공조 및 그 해법 말고도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비용과 한미FTA 재협상,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협의체 운영 등이 꼽히고 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