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지난 5개월간 동력을 잃었던 정상외교에 시동을 걸면서 작년 12월 탄핵발의 후 이어졌던 오랜 외교공백에 마침표를 찍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10~11일 미국·중국·일본 등 주요국 정상들과의 첫 전화통화에서 북핵 대응과 사드 배치·위안부 합의 과거사 문제 등 주요 현안을 모두 언급하면서 외교 일선에서 할 말은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는 문 대통령이 향후 동북아에서 주도적인 외교를 벌이겠다는 포석으로도 읽힌다.

문 대통령의 갈 길 바쁜 외교행보에는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면서 북핵 공조를 위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와 중국의 보복조치 완화, 교착에 빠진 한일관계 개선 등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북핵 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은 특사·대표단 교류 및 양국 정상회담 대화를 통해 한반도 정책을 조율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후보 시절부터 국회 및 새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다루겠다는 의지를 보여왔던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사드 해결을 위해 미국·중국과 진지하게 협상하겠다"는 원칙을 밝혔고, 시 주석과의 첫 정상간 통화에서는 "사드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관심과 우려를 잘 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미·한중·한일 관계 개선을 통한 문 대통령의 사드 배치 및 북핵문제 해법찾기는 이제 본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10~11일 미국·중국·일본 주요국 정상들과 취임축하 통화를 가졌다./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각국 정상들과의 취임축하 통화 후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주요 4개국 특사 내정에 들어갔다.

우선 문 대통령은 트럼프 미 대통령과 가장 먼저 정상간 전화통화를 하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한미정상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 한미정상회담 시기는 6월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문 대통령은 이어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전화통화에서 사드 배치로 불거진 경제보복 등 악화된 양국관계를 의식해 가급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력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사드 배치 결정으로 악화됐던 한중 갈등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한미 동맹을 고려하는 줄다리기 외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11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첫 통화에서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국민들 정서상 수용 못 한다"는 입장을 전달하면서 한일관계에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위안부 합의 재협상 가능성에 대해 한일 양국이 이견을 드러낼 수 있겠지만, 북핵·탄도미사일 도발에 대한 공동 대처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이행, 한일 간 경제협력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손을 맞잡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모디 인도 총리 및 말콤 호주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투자확대와 전략적 소통 등 실리외교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12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통화에서는 7월 정상회담을 논의했다.

각국 정상과의 곧 있을 회담은 동북아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문 대통령의 외교 능력을 가늠하는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