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해마다 졸음운전으로 목숨을 잃는 운전자가 12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경찰청에 따르면, 2013~2015년 3년 동안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모두 7639건이었다. 이 사고로 사망한 인원만 해도 359명이나 된다. 한 해 평균 120명이 졸음운전으로 목숨을 잃은 셈이다 

특히 고속도로에서의 졸음운전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주의가 요구된다. 같은 기간 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 사고는 660건 발생했다. 사망자는 93명으로 치사율이 14.1%나 된다. 전체 고속도로 교통사고 치사율(1만1309건·7.2%)의 두 배에 이른다. 

계절적으로는 봄철 졸음운전 사고가 가장 많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지난해 자사 승용차 사고 120만건을 분석한 결과,  봄철 발생한 졸음운전 사고는 모두 1344건으로, 겨울에 비해 31.5%나 많았다.

봄철 졸음운전이 이처럼 빈번한  것은 일교차로 몸이 쉽게 피로를 느끼는 이른바 '춘곤증'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점심 식사 이후인 2~4시(16.7%)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오후 2~4시 졸음운전 사고의 치사율(사고 건수 대비 사망자 수)은 전체 사고 평균(0.12%)의 다섯 배나 되는 0.59%였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