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내 대북지원단체들의 북한주민 접촉 신청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일부에 따르면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등 10개에 가까운 대북지원단체들이 인도지원·사회문화교류·개발협력 등을 목적으로 최근 통일부에 북한주민 접촉 신청을 했다.
남북교류에 긍정적인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남북교류 재개에 대한 기대가 커진 것이지만 아직 접촉이 허락된 단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우리서로돕기 외에도 남북교류에 관심 있는 단체들의 접촉 신청이 있다”면서 “(하지만) 정부 정책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그래야 예측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통일부가 실무적으로 검토를 많이 하고 있고, 유관기관과도 협의해야 한다. 조만간 빨리 입장 밝힐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남한 주민이 북한 주민과 회합·통신, 그 밖의 방법으로 접촉하려면 통일부 장관에게 미리 신고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부는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반도 위기 고조를 이유로 대북지원단체들의 접촉 신청과 방북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거듭된 거부에 대북지원단체들도 아예 신청하지 않다가 최근 남북 교류에 긍정적인 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다시 접촉 신청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주민 접촉 신청은 처리 기간이 1주일이지만 한차례 1주일 연장이 가능하다. 신청이 승인되면 이들은 북측에 팩스나 이메일을 보내 앞으로 활동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한편, 통일부 장·차관 등 내각 구성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새 정부 출범 나흘만에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는 등 국제사회의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이 문재인 정부의 향후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는 6.15공동선언과 관련해 통일부 관계자는 “6.15가 임박하면 으레 통일부에서는 민간 차원의 여러 행사에 대해 실무적인 차원에서 검토하게 된다”며 “하지만 (큰 틀의) 대북 정책이 정리되고, 남북관계나 북핵 문제, 국제사회 등 여러 관련 사항을 심도 있게 검토해서 확정된다”고 말했다.
| |
 |
|
| ▲ 통일부 관계자는 16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내 대북지원단체들의 북한주민 접촉 신청이 급증한 것과 관련해 정부 정책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그래야 예측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직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 |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