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글로벌 물류 추적 보안관제 서비스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KT는 8일 포스코ICT와 ‘글로벌 물류 추적 보안관제 사업’를 추진키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다음 달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물류 추적 보안관제’ 서비스는 해외로 운송되는 화물의 특성에 맞춰 국내·외 물류구간에서 웹과 모바일로 화물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
 |
|
▲ 최동익(오른쪽) 포스코 ICT Smart SOC 본부장과 장원호 KT Global & Enterprise상무, 에스위너스 신중조 대표(가운데)가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KT 제공 |
KT의 글로벌 통신망과 차량 종합관제 플랫폼(T-FMS) 기술, 포스코ICT와 에스위너스의 장비 솔루션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접목했다
위 서비스에는 M2M(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실시간 통신 기술, 불법적인 문 개·폐 감지, 온도/습도/충격 감지를 위한 센서기술 등이 사용됐다. 또 고객들의 요구사항에 맞춰 규정된 사용자만이 화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NFC(근거리통신) 기반 인증기술을 적용했다.
KT는 또 컨테이너가 운송되는 물류 환경을 고려해 50일 이상의 장기간 운송기간에도 사용될 수 있게 저전력 기술이 적용됐다. 영하의 온도, 해풍, 먼지, 충격 등 열악한 물류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비와 플랫폼(실시간 모니터링, 경로 조회, 관심 지역 설정, 통신주기 설정)으로 구성됐다.
KT 측은 “국외로 이동 중인 화물 상태(도난, 파손 등)를 확인하기 어려워 수출국가로의 안전한 화물 수송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화주와 운송사, 선사의 고민이 해결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올해 말 발효가 예상되는 미국의 항만보안법(Safe Port Act)도 물류추적 보안관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어 KT와 포스코ICT 양사는 ‘글로벌 물류 추적 보안관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동익 포스코ICT Smart SOC 본부장은 “원천 기술 및 다양한 물류 정보기술(IT)을 확보하고 있는 에스위너스와 협력해 장비와 플랫폼을 공동 개발했다”며 “여기에 KT의 글로벌 통신망과 차량 통합관제 서비스(T-FMS)를 접목해 물류 IT 시장의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장원호 KT Global & Enterprise M2M 사업담당 상무는 “러시아와 유럽, 중국 등에서 시범 운영한 결과, 일반 컨테이너 화물의 자산 관리뿐만 아니라 반도체, 전자제품 같은 고가 화물의 안전 문제에도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했다”며 “이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 물류 산업 분야를 선도해 글로벌 No.1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