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남녀를 불문하고 근로자 30%가 최근 반년간 주 1회 이상 성희롱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유정 부연구위원과 이진솔 연구원은 29일 '남녀 근로자 모두 위협하는 직장 성희롱 실태' 보고서를 발표해 15개 산업분야 근로자의 29.0%가 지난 6개월간 주 1회 이상 성희롱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의 21개 대분류 중 15개 산업을 선별해 산업당 200명씩 총 3000명(남자 57.8%·여자 42.2%)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성별로 피해자를 보면 여성은 34.4%, 남성은 25.0%를 차지했다. 여전히 여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남성 피해자 비율도 낮지 않았다.

근로자 1명이 6개월간 평균적으로 경험한 성희롱 횟수는 6.36회였는데 남자는 6.79회, 여자는 5.79회로 드러나 남자가 여자보다 직접적인 성희롱과 성추행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직장 성희롱의 전체 평균 피해자 비율은 조작적 피해자 29.0%, 주관적 피해자 8.9%였다. 조작적 피해자는 최근 6개월간 13개의 성희롱 행위 중 1건 이상을 경험하고 수치심을 느낀 경우를 말하며, 주관적 피해자는 스스로 판단했을 때 1회 이상의 성희롱 피해를 본 경우를 의미한다.

여성의 경우 조작적 피해자 비율은 34.4%, 주관적 피해자 비율은 11.6%였다. 남성의 조작적 피해자는 25.0%, 주관적 피해자는 6.9%였다.

한편 남성 성희롱 조작적 피해자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금융·보험업(34.1%)이었다. 이어 예술 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33.3%), 숙박· 음식점업(30.8%)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주관적 남성 피해자 비율이 높은 산업은 부동산·임대업(11.4%), 예술 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1.1%), 건설업(8.6%)으로 드러났다.

조작적 여성 성희롱 피해자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0.0%)이었고 제조업(43.5%), 부동산·임대업(42.3%) 등도 비율이 높았다. 주관적 여성 피해자 비율이 높은 산업은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21.1%), 부동산·임대업(18.5%), 출판·영상·방송통신·서비스업(18.5%) 등으로 조사됐다.

직장 성희롱의 주요 가해자는 간부·임원(34.6%)이었고, 직속 상사(28.4%)도 상당 비율을 차지했다. 그 뒤로는 선임 직원(14.8%), 원청 직원(9.0%), 고객(7.0%), 후임 직원(4.4%), 같은 직급 근로자(2.0%) 등 순서가 이어졌다.

주요 가해자 성별은 보면 남성(남성 피해자 86.4%·여성 피해자 78.0%)이 압도적이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