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KBS 고대영 사장과 이인호 이사장의 즉각 사퇴 등 정치독립을 주장한 KBS노조가 재정독립에는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들은 고 사장 및 이 이사장 퇴진에 나선 이유로 공영성 신뢰의 위기와 경영상 위기를 들면서 "국민이 주인인 KBS의 공적재원을 더욱 공영화 시켜야 하나 수신료 자율납부나 선택적 유료화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 부적절하다"며 말을 아꼈다.
12일 오후12시 여의도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 KBS본부에서 열린 KBS 전직원 설문결과 및 '고대영-이인호는 즉각 물러나라' 퇴진투쟁 발표 기자회견에서 성재호 언론노조 KBS본부장 등 주최측은 이같이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KBS노동조합·전국언론노조 KBS본부와 10개 직능협회(경영·기자·방송그래픽·방송기술인·아나운서·전국기자·전국촬영기자·촬영감독·카메라감독·PD)의 공동주최로 열렸다.
주최측은 최근 KBS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사장·이사회 퇴진 여부 및 KBS 개혁과제' 설문조사에서 "고 사장과 이 이사장에 대한 즉각 사퇴에 88~90% 응답자가 찬성했다"면서, 지난 2일 리서치뷰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사장·이사진 퇴진 찬성 67%)를 함께 언급하며 "이들의 퇴진이 국민의 명령이자 KBS 전 직원의 요구"라고 강조했다.
주최측 조사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6일까지 일주일 간 QuestWorld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설문으로 진행됐고, 설문대상인 KBS 전 직원 4975명 중 3292명이 응답해 응답률 66%를 보였다.
리서치뷰의 조사는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050명을 대상으로 ARS자동응답을 이용해 임의걸기로 진행됐고,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 ±3.0%포인트로 응답률은 5.5%였다.
|
 |
|
▲ KBS노동조합·전국언론노조 KBS본부와 10개 직능협회는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KBS 고대영 사장과 이인호 이사장의 사퇴를 촉구했다./사진=미디어펜 |
KBS노조는 이날 설문결과 배경에 대해 "방통위 시청자 평가지수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진 작년 10월을 기점으로 모든 평가항목이 급격히 하락해 종편과 민영방송에 뒤지게 됐다"며 "사측의 독선적인 정책도입과 불통 경영은 KBS조직을 와해하고 구성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어 "이러한 내부구성원들의 절대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고 사장과 이 이사장이 끝내 '자진 사퇴'를 거부한다면 더 이상의 자비는 없으며 강제 퇴진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방송법 개정을 통해 정치권의 잘못된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고 사장·이 이사장의 사퇴요구 투쟁과 방송법 개정운동을 병행하면서 보직사퇴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시사했다.
주최측은 이날 공영방송인 KBS의 지배구조와 관련해 "국민으로부터 준조세인 수신료를 강제로 거둬 운영되는 공기업 KBS가 대통령이나 국회와 같이 국민으로부터 위임된 정치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려면 재정적인 면에서 독립해야 하는거 아니냐"는 기자 질문에 "KBS는 단순히 공기업이 아니며 공영방송은 그렇게 취급되어선 안된다"며 난색을 표했다.
성재호 언론노조 본부장은 이에 대해 "KBS운영에 대한 감사는 권력에 의해 부당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며 "공적 재원의 공영화는 KBS에게 매우 중요하고 이는 수신료 현실화나 더욱 공영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성 본부장은 이어 "지금까지 국민들로부터 걷어온 수신료에 대한 자율납부나 선택적 유료화에 대해서 노조는 그런 입장을 말씀드리기에 부적절한 입장이고 검토되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주최측은 이와 관련해 "국민이 주인인 KBS가 재원적 여건은 열악한 가운데 모든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공영방송이라는 공정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