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중국 투자액을 두고 한국과 일본기업이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기업이 2배 이상 많은 수치를 기록, 한국과의 격차를 크게 벌리고 있는 것이다.
13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04∼2013년)간 한국의 대중국 직접 투자액이 361억5000만 달러(중국 기준)를 기록한 반면 일본 기업의 투자액은 529억 달러에 달한다.
2011년 이후 지난해까지 일본의 대중국 투자액은 177억6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한국의 투자액(81억6000만 달러)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대중국 투자액 추이는 2008년을 전후로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04년에 62억5000만 달러를 기록해 같은 해 일본보다 8억 달러나 많은 금액을 중국에 투자했다. 그 이후 2008년까지 한·일 양국은 비슷한 투자액 추이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에 일본은 연간 투자액이 70억 달러를 웃도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한국은 연평균 투자액이 30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주춤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관계가 악화되고 중국에서 반일 감정이 높아진 후에 일본 기업들의 공격적인 행보가 더욱 뚜렷해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일본 기업들은 중국 내에서 반일 감정이 비등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경분리의 전략에 따라 중국 시장 침투를 위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분석은 투자업종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주로 제조업 생산기지(비중 68.7%, 2012년 기준)를 만드는데 투자하고 있는 반면 중국 소비자를 직접 겨냥하는 유통 및 임대 등 서비스업 비중은 10.8%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일본기업은 제조업 비중이 61.8%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서비스업 비중이 우리 기업들보다 매우 높은 26%에 달해 중국 내 서비스 거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최용민 무협 북경지부 지부장은 "한국이 중국 제1의 수입국으로 발돋움했을 정도로 무역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내 투자에는 인색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