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국민의당 이준서 전 최고위원의 거듭된 '제보조작' 공모 혐의 부인에 당원 이유미(38·구속)씨와의 대질심문 및 향후 나올 디지털포렌식 증거 등 검찰의 압박카드가 주목된다.
"아직 이 전 최고위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한 검찰은 5일 오후2시 이유미씨와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재소환해 두 사람의 진술이 엇갈리는 경우 대질심문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사건을 맡은 서울남부지검 공안부(강정석 부장검사)는 이날 3차 소환조사를 계기로 지난달 24일 안철수 전 대표가 전 최고위원과 만난 사실 및 이씨가 안 전 대표에게 보낸 구명요청 문자메시지, 국민의당 윗선의 부실한 검증과정 등 미심쩍은 부분에 대해 해소할 전망이다.
관건은 강제력 없이 관계자 진술에만 의존한 국민의당의 자체조사와 달리 검찰 수사는 현재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디지털포렌식 증거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검찰은 이에 대한 조사 분석과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 간의 대질심문을 마치는대로 이 전 최고위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씨는 지난 대선 기간 제기된 문재인 대통령 아들 문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입사특혜 의혹을 뒷받침하는 육성 파일과 카카오톡 캡처화면을 조작한 혐의(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를 받고 있으며, 이 전 최고위원은 이씨로부터 받은 '조작' 제보를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관계자들에게 건네 폭로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
 |
|
▲ 지난 5월6일 더불어민주당은 문준용씨 특혜 의혹제기와 관련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유포와 비방 등의 혐의로 국민의당 관계자들을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다./사진=(좌)연합뉴스,(우)국민의당 제공 |
앞서 이 전 최고위원은 5일 새벽 12시간에 걸쳐 검찰 재소환 조사를 마치고 나와 "검찰은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며 "이씨에게 '선거 이기면 끝'이라고 말한 적 없다"면서 이씨와의 제보 조작 공모 혐의를 일체 부인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틀 연속으로 자정을 넘기는 고강도 조사를 받았으나 혐의를 계속해서 완강히 부인하는 상태다.
검찰은 박지원 전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가 받았다는 문자를 포함해 이번 사건에 관한 당 차원의 검증이 대선 당시 이뤄지지 않았던 과정까지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지난 대선 당시 당 공명선거추진단을 이끌었던 김성호 전 의원·김인원 변호사를 피고발인 신분으로 조만간 다시 부를 방침이다.
검찰은 이들에게 대선 나흘 전인 5월5일 폭로 기자회견을 하게 된 경위와 당 차원의 조직적 관여 여부, 자체조사 결과 및 관련 자료에 대해 확인할 계획이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