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지난 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도발을 감행한 북한에 대한 추가제재 일환으로 원유 공급을 중단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9일 알려졌다.

이번 원유공급 중단 방안 논의와 관련해, 북한의 도발이 ICBM급이 아니라며 이의를 제기한 러시아,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반대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 압박이 유엔 안보리에서 전개되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8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대북 인도적 지원에 관해 설명하다가 이에 대해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중단은 안보리 회원국들과 굉장히 중요한 논의가 되고 있는 이슈"라며 사견임을 전제로 인도적 차원이 아닌 경우 원유 공급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이와 관련해 지난 5일(현지시간) 북한의 ICBM 도발로 열린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새 대북제재는 북한과 무역거래를 하는 나라를 표적으로 하고, 북한 원유수출을 억제해야 한다"며 중국을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이미 미국은 안보리 추가제재 결의에 들어갈 요소들을 담은 초안 형태의 문서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한미일 3국은 오는 11~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제27차 동북아시아협력대화(NEACD)를 계기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대북 원유공급 중단 등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한다.

한미일 6자 수석대표는 북한의 비핵화 대화 복귀를 끌어내기 위해서 원유공급 중단 혹은 제한과 더불어, 북한의 해외 노동자 송출 금지 등 외화 수입원 차단책을 안보리 차원의 신규 제재에 포함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북한의 4차 핵실험 후 안보리가 채택한 결의 2270호는 북한 전체 유류 수입의 10% 비중인 항공유만 금지한 상태다.

   
▲ 유엔 안보리는 북한에 대한 추가제재의 일환으로 원유공급 중단 방안을 유력하게 논의하는 것으로 9일 알려졌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