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올해 2분기(4∼6월) 대졸 이상 실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전체 실업자의 절반을 넘어서면서 분기 기준으로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대졸 이상 실업자는 54만6000명을 기록해 전년 같은 분기보다 11.8% 증가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실업자는 구직활동을 하고 있지만, 일자리를 얻지 못한 사람을 지칭한다.

2분기 대졸 이상 실업자 수는 1999년 실업 통계 기준을 변경한 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 전체 실업자 수는 108만2000명으로, 대학 졸업장을 가진 실업자의 비중은 50.5%였다.

2015년 2분기(46.6%), 작년 2분기(46.5%)·4분기(46.8%), 올해 1분기(46.5%) 등 46%대를 기록한 적은 있지만 50%를 넘어선 것은 통계 기준 변경 이후 처음이다.

대졸 이상 실업자 수는 올해 1분기(1∼3월) 사상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선 이후 두 분기 연속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올해 2분기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인구는 350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1.8%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일할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들로, 실업 통계에는 제외된다. 일자리가 없어 구직을 포기한 이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같은 기간 전체 비경제활동인구는 1589만6000명이었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중 대졸 이상의 비율은 22%로 역시 가장 높았다.

대졸 이상 고학력 계층에서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절대 수뿐 아니라 비율까지 높아지는 이유는 꽁꽁 얼어붙은 청년고용시장 탓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