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최근 수해를 입은 충남 천안 지역에서 민·관·군 1300명이 수해복구 지원에 나섰다.
2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충청남도 천안 수해지역에 군인·공무원·자원봉사자 등 총 1300여명이 복구지원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천안시청 소속 5급 과장급 이상 공무원 50여명은 병천면 봉항리 일원 오이농장에서 복구 작업을 지원하기도 했다.
서북구보건소 감염병대응센터는 방역반을 편성하고 침수 가옥·공공시설 등에 대한 집중 방역을 실시했다.
육군 제 32사단 장병 500여명은 병천면 일대 주택에 투입, 가재도구 등을 걷어내고 토사를 치우는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
|
 |
|
▲ 22일 구본영 천안시장(왼쪽)을 비롯한 천안시청 공무원들이 폭우 피해를 입은 북면 은지리 버섯재배 가교농산에서 못쓰게 된 물건을 빼내고 있다./사진=천안시 제공 |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은 이날 오후 북면에서 한국전력거래소 중부지사와 버섯재배 가교농산을 둘러봤다.
이어 시로부터 피해 및 복구상황을 보고 받고, 피해 지역 주민과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공무원·군인·자원봉사자들을 위로·격려했다.
구본영 천안시장은 이 자리에서 김부겸 장관에게 특별재난지역 지정·특별교부세 지원을 요청했다.
김 장관은 "천안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기준을 초과한 상황에 대해 잘 보고받았다"면서 "지정 방법과 특별교부세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김 장관은 이날 "농경지·축사·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며 조속한 복구 및 2차 피해방지를 위한 영구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을 당부했다.
시는 이번 폭우로 인한 수해 피해액을 공공시설 400억여원·사유시설 133억여원 등 총 533억여원으로 잠정 집계한 가운데 현재 도로 57.9%·하천 30%가 복구됐으나 농경지 복구율은 1.2%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