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후속조치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27일 "이번 조치는 다양성이 보장되고, 질이 높은 검정 역사교과서를 학교에 보급해 교육의 민주주의를 회복해야 한다는 국민의 뜻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5월 31일 국정 역사교과서가 폐지 됐으나, 개발 중인 검정교과서가 국정화의 연장선상에 있고, 집필 기간이 부족하여 교과서 집필이 졸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됐다는 이유에서다.
교육부는 "학계와 현장 및 시도교육청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각계에서 제기된 교육과정 및 집필기준에 대한 개정 요구 사항을 분석해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후속조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또 "의견수렴과 요구분석 결과에 따라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개정을 통해 학계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충분한 집필 기간을 거쳐 당초보다 2년을 연기한 2020년 3월부터 새 검정교과서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고 선언했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에 이은 검정 역사교과서의 개발.적용 추진은 역사교과서의 다양성을 보장하고 교육의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조치를 계기로 그동안 지속되었던 역사교과서와 관련한 논란이 조속히 마무리되어 학교 현장이 안정화되고 이러한 노력이 국민 통합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