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오전1시 긴급소집되어 1시간 동안 진행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사드 잔여 발사대의 추가 배치를 포함한 한미 탄도미사일 발사 무력시위 등을 지시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앞서 북한은 28일 오후11시41분 자강도 무평리 인근에서 ICBM급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기를 발사했고, 우리 군은 "이번 미사일이 고도 3700km에 비행거리 1000여km를 날았다"고 추정하면서 지난 도발보다 진전된 ICBM급으로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28일 오후11시50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미사일 발사 사실을 보고 받고, 새벽1시 NSC 전체회의 소집을 긴급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1시간 동안 진행된 NSC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전략적 도발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조치로 한미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보다 강력한 무력시위를 전개할 것과 사드 잔여발사대 4기의 추가 배치를 지시했다.
이에 따라 한미 미사일 부대는 29일 오전5시45분 동해안에서 2번째 한미 연합 미사일 사격훈련을 실시해 한국군의 현무-2와 미8군의 ATACMS(에이태킴스) 지대지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또한 우리 군은 이날 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지난 4월 경북 성주에 이미 배치한 사드 발사대 2기와 X-밴드 레이더 외에 왜관 미군기지에 보관해왔던 잔여 발사대 4기를 추가배치해 사드 1개 포대 구성을 완료하기로 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임시로 추가배치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도발함에 따라 4기 임시배치가 진행되고 그에 따른 한미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오전1시에 열린 NSC전체회의에서 북한의 ICBM도발과 관련해 사드 잔여 발사대의 추가 배치를 포함한 한미 탄도미사일 발사 무력시위 등을 지시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7월4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NSC전체회의를 소집해 모두발언하고 있는 모습이다./사진=청와대 제공 |
문 대통령은 이날 NSC에서 사드 잔여 발사대 추가배치를 포함해 한미 간 전략적 억제력 강화방안을 즉시 협의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긴급 요청해 강력한 대북 제재안 마련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한 대북 경계태세 강화도 지시했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 도발은 지난 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평가된 '화성-14형' 미사일을 발사한 지 24일 만이며, 문재인정부 출범 후 7번째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