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1일 기상청이 발표한 '7월 기상특성'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평균 최고기온은 30.6도로, 평년(28.8도)보다 1.8도 높았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기상 관측망을 확충해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3년 이후 1994년(33.3도), 1973년(31.5도), 1978년(31.2도)에 이어 네 번째로 더운 수준이다.
지난달 전국 평균기온 역시 평년(24.5도)보다 1.9도 높은 26.4도로 역대 4위에 올랐다.
서울의 경우 지난달 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이 각각 26.9도와 24.3도로, 관측 이래 각각 세 번째와 두 번째로 높았다.
이처럼 올여름 전국적으로 폭염이 계속된 것은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더 세력을 떨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북태평양고기압은 열대 서태평양부터 남중국해까지 넓은 영역에서 활발한 대류활동을 일으키며 평년보다 북서쪽으로 확장했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 다습한 남서류가 지속해서 유입됐다.
이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낮에는 폭염(일 최고기온 33도 이상)이, 밤에는 열대야(밤사이 최저기온 25도 이상)가 기승을 부렸다.
7월 전국평균 폭염일 수는 6.4일로 평년(3.9일)보다 이틀 이상 많았다. 이는 1973년 이후로 따졌을 때 여덟 번째로 많은 것이다.
특히 지난달 제주도의 폭염일 수는 7.5일에 달해 1973년 이후 가장 많았다.
밤사이 전국적으로 기온이 떨어지지 않은 탓에 지난달 전국평균 최저기온은 23.2도를 찍어 1994년(23.6도)에 이어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높았다.
이 영향으로 7월 전국평균 열대야 일수는 6.4일로 평년(2.3일)의 3배에 달했으며 1973년 이후로는 세 번째로 많았다.
지난달 전국 강수량은 308.0㎜로 평년(289.7㎜)과 비슷했다.
7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은 최근 6개월 누적 강수량(616.6㎜)이 평년 대비 89%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중부지방의 가뭄은 다소 해소됐지만, 남부지방의 6개월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56%) 수준인 409.9㎜에 그쳐 가뭄이 이어졌다.
특히 16일에는 중국 북부의 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사이로 많은 수증기가 지나면서 청주에 290.2㎜, 천안에 232.7㎜의 비가 내려 관측 이래 최고 일 강수량을 기록했다.
태풍은 지난달 총 8개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것은 제3호 태풍 난마돌(NANMADOL) 하나뿐이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