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국가정보원이 지난 6월 출범시킨 적폐청산 TF는 3일 "2012년 4월 이후 당시 국정원 심리전단의 사이버 외곽팀이 최대 30개로 늘어났고 이들이 사이버공간에서 '종북세력의 국정방해' 여론을 대응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정원은 현직 검사인 국정원 감찰실장을 팀장으로 삼아 개혁발전위원회 내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를 꾸렸고, 내사 진행을 위해 지난달 초 법무부에 13건을 포함한 관련 수사기록의 열람·등사를 공식요청한 바 있다.
국정원은 적폐청산 TF 조사를 통해 NLL대화록에서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논두렁 시계' 보도 등 과거 정치개입 사건으로 지목한 13건에 대해 진상을 전면 재조사하겠다고 밝혔었다.
적폐청산 TF 핵심 관계자는 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13건 중 하나인 국정원 댓글사건과 관련해 "개입이 확인됐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조직과 단위에서 어느 정도 개입했는지 파악됐다"며 당시 심리전단의 사이버 외곽팀 운영에 대해 설명했다.
TF 소식을 인용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국정원은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취임 이후 심리전단에서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알파(α)팀 등 민간인으로 구성된 '사이버 외곽팀'을 운영했고 4대 포털 및 트위터에 나온 정부 비판여론을 '종북세력의 국정방해'로 규정해 대응하는 것이었다고 전해졌다.
특히 적폐청산 TF에 따르면, 심리전단은 2009년 9월 외곽팀 9개팀 신설로 시작해 2011년 1월에는 24개로 늘렸고, 여기에 더해 2011년 3월~2012년 4월에는 트위터 담당팀을 6개로 확대 운영했다고 알려졌다.
이날 적폐청산 TF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향후 관련 자료를 정밀 분석해 외곽팀 활동 세부내용을 파악하면서 심리전단의 온라인 여론조작 의혹에 대해서도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법조계는 적폐청산 TF가 진상을 새로이 규명할 경우 검찰 재수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국정원이 TF의 내사결과를 토대로 검찰에 관련자를 고발하거나 수사 의뢰하면, 검찰이 수사에 착수하는 수순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
 |
|
▲ 국가정보원 적폐청산 TF는 지난 2012년 당시 국정원이 심리전단의 사이버 외곽팀을 최대 30개까지 운영했다고 3일 밝혔다./사진=국가정보원 홈페이지 제공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