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저금리 기조와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맞물리며 다주택자가 3년 만에 25만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지난 13일, 서울 잠실 주공5단지 내 상가에 위치한 부동산 중개업소의 모습/사진=연합뉴스 |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주택을 2건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187만9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15만8000명) 9.2% 증가했다.
다주택자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매년 꾸준히 늘었다.
2건 이상 주택 보유자는 2012년 163만2000명에서 2013년 전년 대비(6만2000명) 3.8% 늘었다. 2014년(2만7000명)에는 1.6% 증가, 2015년(15만8000명)엔 9.2%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3주택 이상 보유자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주택을 3건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전년보다 8만6000명(28.1%) 증가한 3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3건 이상 다주택자는 2012년 33만1000명에서 2013년 33만9000명으로 늘어났다가 2014년 30만6000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15년 기저효과 영향이 겹치며 급증했다.
주택 보유자 중 다주택자 비중도 커졌다.
2건 이상 다주택자는 2012년 13.6%에서 2015년 14.4%로 0.8%p, 3건 이상 다주택자는 2.8%에서 3.0%로 0.2%p 상승했다.
아파트의 경우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파트 2건 이상 보유자는 2015년 69만5000명으로 2012년(13만5000명)대비 24.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3건 이상 보유자는 44.8%(3만명) 증가한 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다주택자가 늘어난 것은 저금리 때문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주택 시장으로 흘러들어온 탓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는 데 부동산 정책의 초점을 맞춘 이전 정부 탓도 있다. 박근혜 정부 때는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하는 등 세제·주택규제 완화 정책을 지속해서 폈다.
반면, 정부가 내년 4월 1일 거래분부터 다주택자가 청약조정지역 내 주택을 팔 때 양도세율을 10∼20%포인트 추가 적용하기로 하고 일부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세무조사에 착수하는 등 투기 수요 잡기에 나서 앞으로도 다주택자가 증가세를 보일지는 미지수다.
한편, 대책 후 주택 시장에서 관망세가 뚜렷해지며 매매가 끊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