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2~3년내 대중화, 글로벌 개방형 생태계 구축 ‘최우선’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 관련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홍원표 삼성전자 사장이 스마트홈의 대중화를 위해 글로벌 개방형 생태계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삼성전자 홍원표 사장은 지난 18일 수원디지털시티 내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 개관을 앞두고 “앞으로 2~3년 뒤면 지금 스마트폰, 스마트TV를 쓰는 것처럼 집집마다 스마트홈의 혜택을 마음껏 누리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S/I/M) 내 마련된 '삼성 스마트홈' 전시관/삼성전자 제공

홍 사장은 과거 10여년 간 있었던 스마트홈 산업의 변화보다 앞으로 2~3년 안에 펼쳐질 변화와 혁신이 훨씬 빠를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패러다임의 대대적인 전환기를 맞아 세계 시장을 주도하며 서비스 대중화를 이끈다는 방침이다.

또 스마트폰, TV, 냉장고 등 세계 1위 역량과 함께 '삼성 스마트홈'을 위한 통합플랫폼이 탄탄한 동력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활성화의 최우선 과제로 통신·가전·건설·에너지·보안 등 각 산업분야 기업들이 활발히 동참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삼성테크윈, 삼성SDS, 에스원 등 관계사들과 삶의 편의를 높이는 다양한 스마트홈 서비스 관련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동시에 파트너사들도 '삼성 스마트홈' 생태계에 동참할 수 있도록 연결 규격을 개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4.0 이상 운영체제(OS)를 갖춘 스마트폰으로 '삼성 스마트홈' 이용이 가능하고, 타이젠 OS 기반 웨어러블 기기인 '삼성 기어2' '기어 핏(Fit)' 역시 이 달 중 서비스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계획이다.

홍 사장은 “지금까지 글로벌 기업들을 비롯해 다양한 기업들과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의를 진행해왔다”며 “최근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 출시와 함께 생태계 구축작업이 한층 탄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이 펼치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미래는 '나를 알아보고 반응하는 집'”이라며 “고객의 생활 습관이나 패턴에 따라 의미있는 가치를 제공해야 하고 주요 기능을 스스로 실행하는 서비스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 사장은 “감성적이고 지능화된 서비스와 함께 생활의 변혁을 이끌어 내는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며 “'삼성 스마트홈' 생태계에 참여하는 기업들과 고객 가치의 증대라는 한 방향으로 움직여, 스마트홈의 미래를 현실로 바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